회계자격증이야기

[전산회계]자산-비유동자산

UH연구원 2023. 3. 24. 14:1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회계에서 쓰이는 자산, 비유동자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유동자산이란, 기업이 영업활동을 위하여 1년이상 즉, 장기간 소유하는 자산을 의미하며,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구분기준은 1년입니다.

비유동자산은 크게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으로 나눌 수 있어요.

투자자산기업이 정상적인 영업활동과는 무관하게 타 회사를 지배하거나 통제할 목적 또는 장기적인 투자, 이윤을 얻을 목적으로 투자된 자산을 말합니다.
*만기보유증권 : 만기까지 보유할 적극적인 의도가 있는 증권으로, 만기가 확정되어 있는 국채,공채,사채 등을 말합니다.(주식은 만기일이 없음으로 만기보유증권이 아님.)
*매도가능증권 : 단기매매증권으로 분류되지않는 주식 및 단기매매증권이나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되지 않는 채권.
*장기성예금,투자부동산,장기대여금 : 결산일 현재 만기일이 1년이상 남아있는 정기예금, 적금, 장기의 양도성예금증서 등을 말하며 투자부동산은 영업용이 아닌 투자목적으로 소유하는 토지, 건물 및 그 밖의 부동산이 해당됩니다.

유형자산은 장기간에 걸쳐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해 취득한 비품, 건물, 차량운반구 등 구체적인 형태가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토지 : 영업용으로 사용한 목적으로 구입한 것, 취득가격외에 중개수수료, 취득세, 등기료 등을 포함하여 토지계정 차변에 기입합니다. 처분시에는 처분금액과 장부금액(취득금액)과의 차이가 있을때에는 유형자산처분손익으로 처리합니다.
*건물과 건설중인자산 : 업무용으로 사용할 건물과 공장 등을 신축, 증,개축 또는 구입할 경우 건물계정으로 처리하며 구입 또는 신축시 취득금액 외에 중개수수료, 취득세, 등기료 등 제비용을 포함하여 건물계정 차변에 기록합니다. 
*자본적지출 : 당해 지출로 인한 경제적효익이 당기뿐아니라 그 이후 기간까지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장부금액에 가산한 후 내용연수 동안에 감가상각한다.
*수익적지출 : 유형자산과 관련한 지출이 당기에 효과가 한정되는 지출, 당기 비용으로 처리.


*비유동자산 감가상각 : 토지를 제외한 유형자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치가 감소하는데, 그 가치 감소분을 감가라고 하고 감가상각비라는 비용으로 처리해야합니다. 보통 정액법과 정률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어요.
  1)정액법 : 매기 동일한 금액을 감가상각비로 인식하는 방법이에요. (감가상각비=취득원가-잔존금액/내용연수)
  2)정률법 : 취득원가에 상각률을 곱한 금액을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 초기연도에 많은 금액을 상각하고 내용연수과 경과할수록 감가상각비를 적게 계산하는 방법이에요(감가상각비=(취득원가-감가상각누계약)x정률)
이외에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이 있어요.
  *유형자산의 처분 : 취득원가로 유형자산계정의 대변에 기입하고, 해당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누계액을 차변에 기입함으로써 처분시점 장부가액(취득원가-감가상각누계액)과 처분금액과의 차액을 유형자산처분손익 계정에 기입합니다.

무형자산은 물리적형태가 없는 비유동자산으로 식별이 가능하고,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하며, 자원에 대한 통제가 가능해야 한다는 세가지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합니다.
무형자산의 종류

산업재산권 특허권, 실용신안권, 의장권, 상표권 등과 같이 법률적으로 일정기간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
라이선스 특정 기술이나 특허 등을 일정기간 이용할 수 있는 권리
프랜차이즈 특정 기업과의 계약에 의하여 일정한 지역에서 상품이나 용역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
저작권 특정 저작물의 복제, 번역, 방송, 상연 등을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
소프트웨어 기업의 업무 관리를 위해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구입 또는 제작하여 사용할 경우 그 취득(제작) 및 유지비용
개발비 기업의 지속적인 신제품 또는 신기를 개발을 위하여 발생하는 비용
임차권리금 임차보증금 이외에 특수한 장소적 이익의 대가로 추가 지급한 금액
광업권 일정한 광구에서 등록을 한 광물을 채굴할 수 있는 권리
어업권 일정한 수면에서 어업을 할 수 있는 권리
영업권 다른 회사를 합병하거나 다른 회사의 영업을 양수할 때 순자산의 공정금액을 초과하여 지급한 금액

기타비유동자산임차보증금(임대보증금_부채), 장기매출채권, 장기미수금 등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산중에서 1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현금화가 되는 비유동자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출, 감가상각 등 이해가 필요한 부분도 있으니 잘 구분해서 파악해보아야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